Basic

사이코패스(Psychopath) VS 소시오패스(Sociopath)

포지마인드 2020. 12. 13. 23:03

넷플릭스 <나는 악마를 사랑했다> 중 한 장면

안녕하세요, 포지마인드 입니다.

어제 조두순 출소 뉴스를 접하면서
그는 사이코패스일까? 아니면 소시오패스일까? 라는 생각이 들어 글을 쓰게 되었는데요.

검색해 보니 사이코패스 테스트(40점 만점)에서 29점이라는 점수가 나왔다고 하는데
놀라운 건 연쇄살인범 강호순의 27점 보다 높다는 것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사이코패스(정신병질자)나 소시오패스(사회병질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공식 진단명이 아님)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ASPD)로 구분합니다.

먼저 정신과에서 말하는 ASPD 특징을 알아보고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차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상심리학자 또는 정신과 의사들이 내담자 또는 환자를 진단할 때,
DSM-5(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 발행하는 <정신질환 질단 및 통계 편람> 5판)를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900페이지가 넘어가는 방대한 양의 책이죠~

DSM-5는 아래 행동 중 3가지 이상의 항목이 나타날 때를 ASPD로 봅니다.

(1) 법과 사회규법을 반복적으로 어긴다.
(2)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반복하고 다른 사람들을 속인다.
(3) 충동적이고 미리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4) 공격적이어서 싸울 수 있다.
(5) 타인의 안전을 무시한다.
(6) 무책임해서 재정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
(7) 후회나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이 외에 다른 것들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인격장애를 판단한다고 합니다.


       전체 인구의 1%        전체 인구의 4%
       선천적(유전적 요인)
       Nature
       후천적(환경적 요인, 양육)
       Nurture
       교육을 잘 받고
       좋은 직장을 가질 확률이 높다
       교육수준이 떨어지거나
       안정적인 직업을 유지하지 못할 확률이 높다
       통제된 행동       불규칙한 행동, 분노
       매우 조작적인       충동적이고 즉흥적인
       다른 사람들에게 매력적이며 신뢰감을 준다       타인과 애착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가진다
       범죄 실행 전 위험을 예측하고 증거를 최소화       즉흥적으로 범죄를 저질러 증거를 남기는 성향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유전적인 영향이 크면 사이코패스,
환경적인 요인으로 가정환경이나 부모의 양육방식의 영향이 크면 소시오패스로 나눕니다.

최근 뇌과학 연구들에 따르면,
이코패스의 뇌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일반 사람들과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Ohio Wesleyan University

fMRI를 통해 정상인의 뇌와 사이코패스 뇌를 대조해 보면,
두려운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그달라(편도체, Amygdala)
정서처리, 의사결정, 행동통제와 관련된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일반인에 비해 현저하게 비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이코패스 뇌에 대한 영상으로 괴물의 심연의 저자 제임스 팰런(James Fallon) 교수의 영상을 추천합니다.
지금까지 290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TED 2009년 영상, Jim Fallon, ‘Exploring the mind of a killer’>

하지만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유전 요인과 환경요인의 상호작용에 따른 결과라는 관점이 지배적 입니다.

사이코패스의 대표적인 인물은 1970년대 미국의 유명한 연쇄살인마 <테드 번디>를 들 수 있는데
사아코패스 테스트에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39점이라 합니다.

사이코패스가 전체 인구의 1% 라는 통계는
미국기준이지만 우리나라와 크게 차이는 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ASPD의 유병률은 미국 전체 인구의 0.2~3.3%)

저 같은 경우 핸드폰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1,000개 정도 되는데
확률적으로 보면 10명의 사이코패스를 또는 40명의 소시오패스를 만났던 것으로 볼 수 있겠죠.

대기업 CEO들 중 사이코패스 비율이 높다는 연구도 있는데요.
반대로 사이코패스 성향이 높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동료보다 낮은 성과를 보였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 영화 조커통한 소시오패스 특징 살펴보기

소시오패스의 대표적인 캐릭터는 조커인데
정실질환을 앓고 있는 홀어머니 밑에서 신체적이고 감정적인 학대를 받으며 자라면서
자존감은 제대로 성립되지 못했고 가난한 가정환경으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헀다.
미흡한 대인관계로 타인과 정서적인 교류를 나누지 못하고, 낮은 교육수준으로 불안정한 직업으로 생계를 꾸린다.
결국 사회에 대한 증오로 괴물이 탄생하게 된 것이라 생각됩니다.

약간 옆길로 세서
범죄 드라마 <MINDHUNTER>를 추천드리고 싶은데요.
시즌 1의 마지막 Episode의 마지막 장면은 정말 숨막히면서 온 몸에 소름이 쫘악!!
(설명이 필요없는 데이비드 핀처가 제작 및 연출)

▣ 둘 중 누가 더 위험한가?

사이코패스는
심리학적 치료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에
소시오패스 보다 위험하다고 생각됩니다.
(대부분 연쇄 살인범은 사이코패스들)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라 하여
전부 다 폭력적이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성격형성이 완성되기 전인 청소년 시기에
조기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고
무엇보다도 행복한 가정환경이 가장 중요하지 않나 생각됩니다.